비대위 시절, 다른 안건에 대해서는 저와 거의 의견을 함께 하였으나,
유독 송영길 전 대표의 서울시장 후보 컷오프 결정 번복과 이재명 고문의 인천 계양을 공천에 대해서는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할 만큼 집요하게 집착하였던 박 전 위원장의 사정에 대해 이해가 되었습니다.
박 전 공동비대위원장이 비대위 모두발언으로 "이재명 상임고문은 6월 보궐선거에 나와야 할 뿐만 아니라 지방선거도 책임지고 지원해야 한다"고 말했던 날,
그 직전에 열린 사전事前 비공개 비대위에서 같은 취지로 발언할 것이라고 말을 하여
저를 비롯한 모든 비대위원들이 ‘충분한 논의를 거친 후 비대위의 입장을 정해야지 박 전 위원장 독단적으로 발언할 경우 비대위가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오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’고 극구 만류하였습니다.
박 전 위원장도 수긍하고 ‘오늘은 발언하지 않겠다’고 약속해 놓고서도 이어진 공개회의에서 약속을 어기고 발언을 강행하여 모두를 경악케 하였던 일도 이젠 이해가 됩니다.
박 전 위원장의 공개 발언 이후 이 상임고문의 인천 계양을 재보궐선거 출마여부를 논의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되었고,
결국 며칠 지나지 않아 ‘당이 처한 어려움과 위태로운 지방선거 상황을 도저히 외면할 수 없었다’며 ‘위기의 민주당에 힘을 보태고 어려운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기 위함’을 명분으로 내세운 이 고문은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에 출마를 강행하였습니다.
‘당의 요청으로 위기의 민주당에 힘을 보태기 위해 인천 계양을에 출마를 해서라도 어려운 지방선거를 이끌어주어야 한다’는 확인서를 박지현 위원장을 위시하여 모든 비대위원들이 연서하여 확인하여 준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.
그땐 지방선거에 악영향을 미칠까 두려워 이건 아니라고 말하기 힘들었다고 애써 자위해보곤 합니다. 후회를 넘어 고통스럽기까지 합니다.
그러나 이번엔 당 대표를 뽑는 당내 선거이므로 달리 악영향을 끼칠 것도 없습니다.
그때 못한 미안함까지 보태 ‘나오면 안된다’고 목청을 높이는 이유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
이 양반 이거.. 진짜 안되겠네.